본문 바로가기

척추 질환/허리

대구 허리디스크 / 허리통증 / 허리협착증 / 척주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 - 사랑모아통증의학과 -

- 대구 허리디스크 / 일자목 / 오십견 / 무릎통증 치료 -

 

 

 

척주의 해부학적 구조 및 기능

<사랑모아통증의학과>

척주의 해부학적 구조는 척주, 추체, 추간판, 척추인대, 척주만곡,

근육조직 및 척수와 척수신경 등으로 되어 있다. ​

​이러한 척주는 크게 경추7개, 흉추12개, 요추 5개,미추3-5개로 구성되었다. ​

구체적으로 7개의 경추(cervical vertebra)는 머리를 지탱하고 움직임에 관여하며(C1-C7)

12개의 흉추(thoracic vertebra)는 늑골에 연결되어 지지하게 된다.(T1-T12)

또한 5개의 요추(Lumbar vertebra)는 척추에서 가장 빈번한 통증을 느끼는 부위인데

이는 신체의 압력을 가장 많이 받는 부위이기 때문이다.(​L1-L5)

특히 요추 4번과 5번이 가장 많은 통증을 나타내는 곳이다.

그리고 천추​(sacrum) 5개와 미추(coccyx) 3-5개로이루어져 있다.

 

척추 인대는 탄력성 물질로 된 섬유 같은 강한 끈으로 척추 운동 시

척추의 안정성을 유지시켜주는 기능을 하며장요인대가 가장 잘 발달되어 있다.

또 추간골을 연결하는 인대 중 추체 전면에는

전종인대, 척추 내관에는 후종인대가 위치해 있다.

​극간인대와 극상인대는 척추후방에서 극돌기를 연결하고

척주 굴곡 시 염좌를 가장 입기 쉬운 인대이다.

​횡돌간 인대는 횡 돌기 상면에 위치하며 경추와 흉추에서는 구별하기 어렵고

요추에서만 발달되어 있으며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인대들은 척추뼈의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척주의 강력한 기계적 항력을 제공한다.

복부 근육군들은 함께 작용하여 척추전방과 측면을 움직이게 하고

상, 하운동과 허리를 지지하는 내측 압력을 유지한다.

또한 복부압력을 조절하는 능력은 횡격막의 호흡을 돕는다.

복부의 근육군은 중력의 중심점으로 척추의 적절한 기능을 유지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

척추 주위에 있는 표면층 후부근육은 허리와 몸통의 활동과 안정성을 유지하게 한다.

엉덩이와 다리 근육은 골반과 골반회전 조절을 용이하게 한다.


전면의 복직근은 요추의 굴곡과 복부를 지지하며 골반의 위치를 조절하고, ​

내복사근은 골반위의 척추의 굴곡과 회전운동에,

외복사근은 척주의 굴곡과 회전운동에,

복횡근은 복부내장을 조절하고 지지하며

후면의 장늑근은 요추의 굴곡과 신전운동에,

최장근은 척주의 굴곡과 신전 ​자세의 유지 기능을 담당한다.

 

 

 

 

극근​은 척추기립근 등의 전체길이를 움직이게 하는 근육이며

주된 근육군은 ​허리부분에 위치해 있다.

다열글은 요추부 주위 근육 중 가장 척추에 가깝게 부착되어 있는

근육이며 가장 큰 근육중의 하나이다.

​그 외 반극근, 회전근, 극간근, 횡돌간근들이

요추 골반부의 완화에 관여한다.

이러한 부위의 손상은 결국 움직임이나 중력에 대항하여

작용하는 대부분의 일상생활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측면의 요방형근은 요추를 측방굴곡 시킬 때

고정근으로 작용하여 척추의 틀어짐을 조절한다.

장요근은 고관절 굴곡근일뿐만 아니라

발이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척추의 신전과 전방 뒤틀림을 일으킨다.
그리고 척추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척추뼈 사이에는 추간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간판은 수핵, 섬유륜과 연골단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후에 강한 종인대에 의하여 각각 보강되어 있다.

요부의 척추구조상 몇 가지 주요 기능을 살펴보면

요추의 경우 요추의 전반부는 추체와 추간판으로 구성되어

무게를 지탱하거나 충격을 흡수하는데 관여하며

이들의 전방과 후방에는 전·후방종인대가 있어 추간판과 추체를 전후방에서 보호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척주 주위의 근의 역할을 알아보면

종주근은 천극근으로 장골에서부터 두개골까지 뻗쳐있어

근이 기시하는 척주의 위치에 따라 근을 구분한다.
척주 측면에 장늑군, 중간부위에는 최장근이 위치하고 있으며
척주내측의 극근은 후두골에서 정지한다.
장근 즉 척주기립근은 흉장늑근, 최장근, 극근이 있는데
기립자세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근이며 복부 굴곡근과는 길항근이다.
이 근들이 양쪽으로 작용하면 척주를 신전시키고
한쪽만 작용하며 척주를 굴곡 시킨다.

횡근은 장근을 버티도록 유지해 주는 버팀목으로
번극극, 다열근, 회선근 등이 있는데 복부근이 양쪽으로 작용하면
척주를 신전시키고 한쪽만 작용하면 척주를 굴곡시킨다.
다열근과 회선근은 척주의 신전과 회전에 작용한다.
또한 복부의 근에서는 전복근과 후복근이 있는데
전복근에는 외복사근, 내복사근, 복횡근, 복직근이 있으며
외복사근과 내복사근은 척주의 회전과 굴곡, 복부내장을 압박하는 작용을 하고

복횡근은 복강내장을 압박하고 늑골을 밑으로 당긴다.

복직근은 한쪽만 작용하면 척주외측을 굴곡 시키고 양측으로는 척주를 굴곡 시킨다.


후복근은 장골근, 대요근, 소요근, 요방형근이 있으며

장골근과 대요근은 대퇴의 굴곡, 외회전,

대퇴의 굴곡 시에는 척주의 굴곡을 가져오는 작용을 하며

소요근은 척주의 굴곡에 작용을 한다.

그리고 요방형근은 한쪽방향으로는 척주의 외측 굴곡 및 둔부를

늑골까지 올리는 작용을 한다.